전력시설물

순시 및 한시 정의

암페어볼트 2014. 7. 9. 15:42

MCCB는 열동전자식(MTM)과 전자식(MOR)으로 구분함.

1. MCCB는 순시,한시요소로 동작.
단락일때는 단락전류에 의한 전자기계력으로 순시동작 과부하일때는 열동계전기에 의한 한시동작 MCCB 설치목적은 저압회로를 과전류로 부터 보호하는것임.

 

2. 한시: 이상전류를 검출한뒤 일정 시간후에 동작하는 보호동작의 의미
과전류(과부하)가 발생할경우 보호동작요소의 보호특성 곡선에 따른 지연시간 후 보호동작이 이루어지는 형태.
예를들어 전동기의 기동시에 정격전류의 약7배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데 이때 기동시간 정도는 지연된후에
해당전류가 지속되면 차단하고 기동시간 이내에 정상전류로 복귀되면 참는 동작.

 
과전류계전기에(ACB)에서 한시는 장한시와 단한시로 나뉘는데 장한시는 계전기를 통하는 전류가 설정치를 오버하고 있더라도 장시간후에 계전기를 트립시키는 기능의것인데 이것의 설정 전류는 정격의 최고 100%까지 세팅하게 되어있음.
따라서 정격의 100% 전류가 흐르더라도 여유가 있으므로 트립타임을 보통 10초이상 480초까지 길게 잡아서 트립시킴.

단한시는 장한시로 설정된 전류에 연동하여 움직이는데 가령 1000A 정격의 계전기에서 장한시를 80%에 설정하고 단한시를 200%에 설정하였다면 단한시 동작 전류는 장한시 설정 *2로서 1600A가됨.
여기에서는 정격보다 훨신 큰 전류를 검출하게 됨으로 트립에이르는 시간도 짧아서 보통
1초 이내에 트립시키게 되어있음.

 

3. 순시는 부하의 쇼트나 낙뢰 등으로 순간 전류가 엄청나게 흐를때 급속하게 차단하는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 설정 전류는 정격의 2배에서 많게는 20배까지 세팅하게 되어있고 이것에는 보통 외부 설정 타입이 없고 내부적으로 최단시간의 타임을 주는데 50미리세칸드 정도의 빠른 속도를 가짐.
이상전류가 검출될 경우 설정 값에 도달하면 매우 짧은 시간에 동작하는 보호동작을 말함.


대부분의 계전기 EOCR, ACB 등은 두가지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각각 계통 또는 보호될 부하의
특성에 맞게 설정하여야 함.